대상포진 초기증상 원인 치료 방법
강직도 올리는 법  조회: 5,578회 23-10-15 23:53


건강을 전하는 강한남자프로젝트의 <건강톡>시간입니다. 오늘은 대상포진 초기증상 원인 치료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대상포진 원인

대상포진은 어릴 때 걸렸던 수포 바이러스에 의해서 유발되는 감염성 피부질환인데요. 주로 성인들에게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대상포진 원인으로는 잠잠했던 수포 바이러스가 다시 재활성화가 되어서 나타나게 되는것인데요. 완전하게 사라지지 않았던 수포 바이러스가 신경을 따라서 이동을 하다가 신경절에 잠복을 하고 있다가 재발하게 되는 것이죠. 몸의 면역력이 감소가 되면서 나타나게 되면, 신경을 타고 피부로 내려와 염증을 일으키고, 심하면 전신으로 염증이 발생하거나, 신경통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대상포진 초기증상

대상포진 초기 증상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등을 마치 바늘로 콕콕 찌르는 듯한 반복적인 통증이 나타나거나 또는 등에 벌레가 기어다니는 듯한 간지러움, 가려움 등의 등에 이상적인 증상들이 나타나거나, 몸 특정 부위에 빨갛게 부어오르는 발전 형태를 띄게 되면, 일주일 이상 지속이 되었을때, 수포도 발생하게 됩니다.

깨알처럼 촘촘하게 위치해 있거나 또는 반대로 물집은 없지만, 따가운 통증만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통증이 난다고 해서, 가렵다 해서 긁게 되면 2차 감염으로 이어지고, 피부가 함몰이 될 수 있기 때문에 피부과에 가셔서 수포를 제거하고 관리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외에도 가슴, 허리 등고 같은 부위에서도 나타날 수 있고, 얼굴, 눈, 허벅지 등 신경이 도달하는 곳에는 다 증상들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때 대상포진이 눈, 귀에 발생이 된다면 경과를 보는 것 보다를 빠르게 내원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 이유는 눈은 시력을 영구적으로 잃을 수 있으며, 귀는 청신경과 가깝기 때문에 청각을 잃을 수 있습니다.

대상포진 전염성

대상포진 포진은 전염성 유무에 대해서도 많은 분들이 궁금해 하시는데요. 초반에 언급을 했듯이 대상포진은 감염성 피부질환입니다. 수두를 앓은 적이 없는 사람에게도 대상포진 전염이 가능하며, 대상포진 환자의 물집이 터진 후 진물에 의한 접촉이 대부분이고, 공기감염으로도 전염이 될 수 있습니다.

  • 합병증을 주의해야

대상포진은 합병증까지 나타나기 때문에 치료를 정말 잘하셔야 하는데요. 대상포진에 걸리고 나서도 심한 통증이 수개월 동안 지속이 되며, 대상포진 후 동통이라고 하며, 이외에도 피부 분절에 따라서 눈, 귀, 안면, 배뇨 중추 등에 합병증 등이 발생이 될 수 있습니다. 얼굴이나 눈에서 시작이 된 대상포진은 시력, 청력 등에 안 좋은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대상포진 치료 및 예방

대상포진 치료방법은 항바이러스제 투여로 치료를 하게 되는데요. 바이러스 활동을 억제하고, 증상 개선에 도움이 됩니다. 조기에 약물 치료를 함으로써 합병증 발생 가능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통증을 개선하는 진통제, 항염증제도 함께 먹을 수 있으며, 충분한 수면과 수분을 섭취해서 면역력을 유지하는 데에도 신경을 써야 합니다.

  • 대상포진 예방접종

대상포진 예방법은 예방접종을 하는 것인데요. 50대 이상인 사람들에게 예방접종을 권유하고 있습니다. 이는 신경통을 예방하기 위해서 좋은 방법 중 하나이며, 면역력을 강화시키고, 발병 가능성을 낮춰줍니다. 또한 평소에 면역력을 강화시키는 운동, 식단을 조절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이렇게 오늘은 대상포진 원인과 초기증상 전염성 여부와 치료 및 예방 방법에 대해서 종합적으로 살펴봤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대상포진
  • #대상포진초기증상
  • #대상포진원인
  • #대상포진치료


검색